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C언어 : printf
    IT/C언어 2020. 3. 13. 23:02

    printf는 기본 출력함수로 printf의 사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.

     

    #1 printf("출력할 내용")

     

        * 출력할 내용 : 화면에 표시되는 그대로 출력할 내용

     

    <예제1>

    <결과화면>

     

     

    #2 printf("형식지정자", 출력데이터)

     

        * 형식지정자 : 출력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출력할 것인지 형식을 결정한다.

    형식지정자 설명 출력 예
    %d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형 123
    %f 실수 (소수점 고정형식) 123.45
    %lf double형 실수 (소수점 고정형식) 123.45
    %c 하나의 문자(문자형)  A
    %o 부호가 없는 8진수 정수형 237
    %x 부호가 없는 16진수 정수형 1a3f
    %s 여러 개의 문자(문자열) programming
    %u unsigned형 123
    %e 지수 표기 형식 1.23e-3

    <예제2>

    <결과화면>

     

     

    #3 printf("형식지정자1 형식지정자2", 출력데이터1,출력데이터2)

     

        printf( )함수의 형식지정자 개수만큼 출력데이터가 포함되어야한다.

        아래의 코드와 결과화면을 보면 출력데이터가 형식지정자에 대입됨을 알 수 있다.

     

    <예제3>

    <결과화면>

     

     

    #4 printf("형식지정자1 형식지정자2 제어문자", 출력데이터1, 출력데이터)

      

        아래의 \n은 제어문자로 줄바꿈 즉, enter의 역할을 한다.

       

        * 제어문자

    제어문자 설명
    \a 삑하는 경고음 출력
    \t 탭 문자 출력
    \v 수직 탭
    \n 줄 바꿈
    \0 공백문자
    \b 뒤로 한 칸 이동
    \r 줄의 맨 앞으로 이동
    \f 출력화면을 새로운 페이지로 변경
    \\ 역슬래쉬 문자 출력
    \" 큰 따옴표 출력
    \' 작은 따옴표 출력
    \? 물음표 출력
    \ooo 아스키 문자 8진수 표시
    \hhh 아스키 문자 16진수 표시

    <예제4>

    <결과화면>

    'IT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C언어 : Hello World  (0) 2020.03.13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